Lecture 비접지 방식

Views 1965 • Comments 0 • Last Updated at 1 year ago Full screen  
  • 비접지 방식
  • 중성점 접지
  • 비접지 방식

비접지 방식의 개요

아래 그림과 같이 Δ\Delta 결선의 경우 중성점이 없어서 접지를 할 수 없습니다.

이러한 경우를 비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. 비접지 방식의 선로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 선로의 병렬 정전 용량에 의한 사고 전류가 사고 지점으로 흐르게 됩니다.

비접지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• 선로의 길이가 짧거나 전압이 낮은 3.3kV3.3\mathrm{kV}, 6.6kV6.6\mathrm{kV} 계통에 적용
  • 변압기의 결선이 ΔΔ\Delta - \Delta 인 경우 적용
  • 1선 지락 사고시 지락 전류가 적어서 그대로 송전 가능
  • 1선 지락 사고시 충전 전류에 의한 간헐적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 전압 발생 가능

비접지 방식의 지락 전류

아래 그림과 같은 비접지 방식의 선로에서 aa \,상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할 때 사고 지점에 흐르는 지락 전류 Ig I_g \,를 구하여 봅니다.

위 그림과 같이 사고 전류 Ig\mathbf I_gIg1\mathbf I_{g1}Ig2\mathbf I_{g2}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.

Ig=Ig1+Ig2(1) \tag{1} \mathbf I_g = \mathbf I_{g1} + \mathbf I_{g2}

(1)(1)에서 각 전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집니다.

Ig1=jωCSEabIg2=jωCSEca(2) \tag{2} \begin{align*} \mathbf I_{g1} &= j \omega C_S \mathbf E_{ab} \\ \mathbf I_{g2} &= -j \omega C_S \mathbf E_{ca} \end{align*}

(2)(2)를 식(1)(1)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Ig=Ig1+Ig2=jωCSEabjωCSEca=jωCS(EabEca)(3) \tag{3} \begin{align*} \mathbf I_g &= \mathbf I_{g1} + \mathbf I_{g2} \\ &= j \omega C_S \mathbf E_{ab} - j \omega C_S \mathbf E_{ca} \\ &= j \omega C_S \left ( \mathbf E_{ab} - \mathbf E_{ca} \right ) \end{align*}

이때 선간 전압 Eab\mathbf E_{ab}Eca\mathbf E_{ca}는 다음과 같이 상전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Eab=EaEbEca=EcEa(4) \tag{4} \begin{align*} \mathbf E_{ab} &= \mathbf E_{a} - \mathbf E_{b} \\ \mathbf E_{ca} &= \mathbf E_{c} - \mathbf E_{a} \end{align*}

(4)(4)의 관계를 식(3)(3)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Eab ⁣ ⁣Eca=2Ea ⁣Eb ⁣ ⁣Ec(5) \tag{5} \mathbf E_{ab} \! - \! \mathbf E_{ca} = 2 \mathbf E_{a} \! - \mathbf E_{b} \! - \! \mathbf E_{c}

다음과 같은 표현되는 복소수 aa \,는 회전 연산자라고 하며 곱해지는 페이서를 반시계 방향으로 120120^{\circ}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
a=1120=ej23π(6) \tag{6} a = 1 \phase { 120^{\circ}} = e ^{j \frac{2}{3} \pi }

각 상전압에 회전 연산자 aa \,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Ea=EEb=a2EEc=aE(7) \tag{7} \begin{align*} \mathbf E_a &= \mathbf E \\ \mathbf E_b &= a^2 \mathbf E \\ \mathbf E_c &= a \mathbf E \end{align*}

(5)(5)에 식(7)(7)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EabEca=2EaEbEc=2Ea2EaE=(2a2a)E(8) \tag{8} \begin{align*} \mathbf E_{ab} - \mathbf E_{ca} &= 2 \mathbf E_{a} - \mathbf E_{b} - \mathbf E_{c} \\ &= 2 \mathbf E - a^2 \mathbf E - a \mathbf E \\ &= (2 - a^2 - a) \mathbf E \end{align*}

(8)(8)에서 회전 연산자 aa \,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적용합니다.

a2+a+1=0(9) \tag{9} a^2 + a + 1 = 0

(9)(9)를 식(8)(8)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할 수 있습니다.

EabEca=3E(10) \tag{10} \mathbf E_{ab} - \mathbf E_{ca} = 3 \mathbf E

따라서 비접지 방식의 지락 전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.

Ig=j3ωCSE[A](11) \tag{11} {\color{red} \mathbf I_g =\, j \,3 \omega C_S \mathbf E \,} [\mathrm{A}]

여기서

  • CSC_S : 1상당 대지 정전 용량 ([F])([ \mathrm F])
  • E \mathbf E : 고장 발생 전의 고장점 대지 전압 ([V])([ \mathrm V])

(11)(11)로부터 다음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.

  • 비접지 방식의 접지 전류는 고장점 대지 전압 대비 9090^\circ 앞선 (진상) 전류가 흐른다.
first article
next article
Comments
Feel free to ask a question, answer or comment, etc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