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궤적 그리는 방법
예제를 통해서 근궤적을 그리는 방법을 살펴본다.
개루프 전달함수가 (1)과 같다.
G(s)H(s)=(s+2)(s+4)(s+10)k(s+6)(1)
- 근궤적의 분기수
근궤적의 궤적의 숫자는 개루프 전달함수 분모의 차수와 같다.
(1)의 분모의 차수가 3이므로 근궤적은 3개의 분기를 갖고 있다.
- 극점과 영점구하기
극점과 차수 : 분모식=0을 만족하는 점들과 차수
(s+2)(s+4)(s+10)=0⇒s=−2,−4,−10
분모의 차수는 3차이다. n=3
영점과 차수 : 분자식 = 0을 만족하는 점들과 차수
s+6=0⇒s=−6
유한한 영점은 6 하나이므로 무한대에 두개의 영점이 존재한다.
분자의 차수는 1이다. m=1
- 근궤적은 개루프 전달함수(플랜트)의 극점에서 시작(K=0)한다.
- K→∞일 때 근궤적은 개루프 전달함수의 영점으로 접근한다.
- 실수축 상의 근궤적
실수축 위에 근궤적에 포함되는 구간은 구간의 오른쪽에 있는 개루프 전달함수의 극점, 혹은 영점의 갯수의 합이 홀수이면 근궤적에 포함된다.
예에서 실수 축위의 극점과 영점은 왼쪽부터 -10, -6, -4, -2가 된다.
-2의 오른쪽에는 극점이나 영점이 없기 때문에 -2의 오른쪽 구간은 근궤적에 포함되지 않는다.
-2에서 -4의 구간의 오른쪽에는 극점(-2)이 하나가 있으므로 이 구간은 근궤적에 포함된다.
-4에서 -6의 구간의 오른쪽에는 극점(-2, -4) 두 개(짝수)가 있어서 이 구간은 근궤적에 포함되지 않는다.
-6에서 -10의 구간의 오른쪽에는 극점(-2,-4)와 영점(-6)이 있어서 총 3개(홀수)가 되어 이 구간은 근궤적에 포함된다.
-10의 왼쪽 구간의 오른쪽에 있는 극점(-2,-4,-10)과 영점(-6)의 갯수는 4개(짝수)이므로 이 구간은 근궤적에 포함되지 않는다.
- 점근선
근궤적이 수렴해 가는 선으로 x축과의 교점(σ)과 이 점에서의 각도(θi)가 있으면 반직선을 그릴 수 있다.
4-1) 교차점
점근선의 x축과의 교차점을 σ로 명명한다. σ는 식(2)와 같이 계산된다.
σ=n−m∑G(s)H(s)의극점−∑G(s)H(s)의영점(2)
σ=3−1(−10−4−2)−(−6)=−5
4-2) 점근선 각도
점근선의 각도는 식(3)으로 계산한다.
θi=n−m(2i+1)180(3)
⎩⎨⎧i=0;θ0=3−1180=90i=1;θ1=3−13×180=270i=2;θ2=3−15×180=450
θ0과 θ2는 한바퀴를 돌아서 다시 반복된다. 그러므로, θ0=θ2이므로 더 이상 계산할 필요가 없다.
- 출발각과 도착각
근궤적의 출발각과 도착각은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.
∠GH(s)=180∘+α⋅360∘
5-1) 출발각
극점에서 출발하는 각도를 의미한다.
s=−10인 경우
∠(GH(−10))=∠(−10+6)−[∠(−10+2)+∠(−10+4)+θ−10]=180∘+α⋅360∘
180∘−(180∘+180∘+θ−10)=180+α360∘
θ−10=180+180+α360⇒θ−10=0∘
s=−4인 경우
∠(GH(−4))=∠(−4+6)−[∠(−4+2)+θ−4+∠(−4+10)]=180∘+α⋅360∘
0∘−(180∘+θ−4+0∘)=180+α360∘
θ−4=180+180+α360⇒θ−4=0∘
s=−2인 경우
∠(GH(−2))=∠(−2+6)−[θ−2+∠(−2+4)+∠(−2+10)]=180∘+α⋅360∘
0∘−(θ−2+0∘+0∘)=180+α360∘
θ−2=−180+α360⇒θ−2=180∘
5-2) 도착각
영점으로 들어가는 각도를 의미한다. 도착각에서 영점으로 들어가는 각도이다.
s=−6인 경우
∠(GH(−6))=θ−6−[∠(−6+2)+∠(−6+4)+∠(−6+10)]=180∘+α⋅360∘
θ−6−(180∘+180∘+0∘)=180+α360∘
θ−6=180+α360⇒θ−6=180∘
- 이탈점
근궤적이 실수축을 이탈하는 점과 인입하는 점은 식(4) 혹은 식(5)를 만족해야한다.
dsd(G(s)H(s))=0(4)
혹은,
i=1∑n(pi−σ)1=j=1∑m(zj−σ)1(5)
dsd((s+2)(s+4)(s+10)(s+6))=((s+2)(s+4)(s+10))21×(s+2)(s+4)(s+10)−(s+6)(3s2+32s+68)=0
s3+16s2+68s+80−3s3−50s2−260s−408=0
2s3+34s2+192s+328=0
s=−6.95+j2.15,−6.95−j2.15,−3.10j
- 임계안정조건
근궤적이 허수축과 만날때의 이득(K)은 Routh표를 이용하여 임계안정조건을 구할 수 있다.
예는 모든 근궤적이 s-평면 좌반부에 위치하므로 안정한 시스템이다.
- 근궤적 위의 점에서 이득 값의 계산.
근궤적 위에 있는 임의의 점에 대한 이득 K=−GH(s)1을 이용
- 근궤적은 실수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다. 실수축을 중심으로 위아래가 대칭이다.
위 시스템의 근궤적은 다음과 같다.
Login to write a comment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