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자가 1인 경우의 제어 가능 표준형
전달함수는 식(1)과 같다.
G(s)=U(s)Y(s)=sn+an−1sn−1+…+a1s+a01(1)
전달함수가 식(1)과 같을때 제어가능 표준형으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식(1)을 크로스로 곱해주고 역 라플라스 변환을 실행한다.
dtndny(t) + an−1dtn−1dn−1y(t) + … + a1dtdy(t) + a0y(t) = u(t)(2)
상태변수를 식(3)과 같이 정의한다.
x1(t) =y(t)x2(t) = x˙1(t)=y˙(t)⋮xn(t) = x(n−1)(t)˙=y(n−1)(t)y(n)(t)=−a0y(t)−a1y(t)˙−...−an−1y(n)(t)+u(t)=−a0x1−a1x2−...−an−1xn+u(t)(3)
마지막 행은 식(2)로부터 얻을 수 있다. 이를 행렬로 나타낸다
⎣⎡x1˙ x2˙ ⋮xn˙⎦⎤=⎣⎡00−a010−a101−a2……⋮…00−an−1⎦⎤⎣⎡x1 x2 ⋮xn⎦⎤+u(t)(4)
y(t)=[10…0]⎣⎡x1 x2 ⋮xn⎦⎤+[0]u(t)(5)
식(4),(5)를 행렬로 표현하면 식(6)와 같다.
{X˙=AX+BUY=CX+DU(6)
여기서,
A = ⎣⎡00110−a001−a100−a2……⋮…00−an−1⎦⎤ , B =⎣⎡00⋮1⎦⎤, C=[1000…0], D=[0]
분자가 m차인 경우
전달함수가 식(7)과 같은 경우
G(s)=U(s)Y(s)=sn+an−1sn−1+…+a1s+a0bmsm+bm−1sm−1+…+b1s+b0(7)
전달함수에 Z(s)Z(s)를 분모 분자에 곱해준다.
G(s)=U(s)Y(s)=sn+an−1sn−1+…+a1s+a0bn−1sn−1+bn−2sn−2+…+b1s+b0⋅Z(s)Z(s)
식(8)과 같이 분모는 분모끼리, 분자는 분자끼리 두개의 식으로 만든다.
U(s)=(sn+an−1sn−1+…+a1s+a0)Z(s)Y(s)=(bn−1 sn−1+bn−2sn−2+…+b1s+b0)Z(s)(8)
첫번째 식은 분자가 1인 경우와 같이 U(s)와 Z(s)에 대하여 상태변수로 표현한다.
dtndnz(t) +an−1dtn−1dn−1z(t) + … + a1dtdz(t) + a0z(t) =u(t)(9)
상태변수로 식(10)과 같이 정의한다.
x1(t) = z(t)x1˙=x2(t) = z(1)(t)x2˙=x3(t) = z(2)(t)⋮xn−1˙=xn(t) =z(n−1)(t)xn˙=z(n)(t)=u(t)−a0z−a1z˙−…−an−1zn−1=u(t)−a0x1−a1x2−…−an−1xn(10)
위 식을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식(11)과 같다.
⎣⎡x1˙ x2˙ ⋮xn−1˙xn˙⎦⎤=⎣⎡000−a0100−a1010−a2……⋮……001−an−1⎦⎤⎣⎡x1 x2 ⋮xn−1xn⎦⎤+⎣⎡00⋮01⎦⎤u(t)(11)
여기서,
A=⎣⎡000−a0100−a1010−a2……⋮……001−an−1⎦⎤,B=⎣⎡00⋮01⎦⎤
앞에서 정의한 x 상태변수를 이용하여 식(8)의 두번째 식을 표현하면 식(12)와 같다.
y(t) = bn−1dtn−1 dn−1z(t)+bn−2dtn−2 dn−2z(t)+…+b1dt dz(t)+b0z(t)= bn−1 zn−1(t)+bn−2 zn−2(t)+…+b1 z(t)˙+b0z(t)= bn−1 xn+bn−2 xn−1+…+b1 x2+b0x1(12)
y(t)=[b0b1…bn−2bn−1]⎣⎡x1 x2 ⋮xn⎦⎤+[0]u(t)
C=[b0b1b2b2…bn−1], D=[0]
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