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차지연시스템의 단위계단응답
특성방정식 : s2+2aωs+ω2=0⇒s1,2=−aω±jω1−a2=σ±jωd
a : 감쇠비(damping ratio), 제동비
ω : 고유주파수(natural frequency)
σ=−aω : 제동 계수, 실제 제동
τ=σ1=aω1 : 시정수
ωd=ω1−a2 : 실제 주파수, 감쇠 진동 주파수
단위계단 입력시
Y(s)=G(s)R(s)=s2+2aωs+ω2ω2×s1
a>1이면 두 개의 실근 -> 과잉 감쇄
s1,2=−aω±ωa2−1
a>a1−1⇒s1,S2 모두 0보다 작음
Y(s)=s(s−s1)(s−s2)ω2=s−s1k1+s−s2k2+s1
k1=s→s1lims(s−s1)(s−s2)ω2(s−s1)=s1(s1−s2)ω2
k2=s→s2lims(s−s1)(s−s2)ω2(s−s2)=s2(s2−s1)ω2
- k1,k2는 컬레 복소수의 관계
y(t)=k1es1t+k2es2t+1=2(−a−a2−1)a2−1e(−aω+ωa2−1)t+2(a+a2−1)a2−1e(−aω−ωa2−1)t+u(t)
a=1 임계제동
s1,2=−ω
0<a<1이면 두 개의 허근
s1,2=−aω±jω1−a2=σ±jωd
y(t)=L−1[s2+2aωs+ω2ω2×s1]=L−1[sK1+s2+2aωs+ω2K2s+K3]=L−1⎣⎡s1−(s+aω)2+ω2(1−a2)(s+aω)+1−a2aω1−a2⎦⎤=1−eaωt(cos(ω1−a2t)+1−a2asin(ω1−a2t)))=1−1−a21e−aωtcos(ω1−a2t−ϕ)
단, ϕ=tan−1(1−a2a),0<a<1
a=0 무제동
s1,2=±jω
a<0 발산
2중근이면
Y(s)=s(s−s1)2ω2=s−s1k1+(s−s1)2k2+s1
k2=s→s1lims(s−s1)2ω2(s−s1)2=s1ω2
k1=s→s1limdsd(sω2)=−s12ω2
y(t)=k1es1t+k2tes1t+1
오버슈트
출력값에서 최종값을 뺀 값
백분율 오버슈트
오버슈트를 백분율로 표현한 것
%OS=e−1−a2aπ
a=π2+ln2(100%OS)−ln(100%OS)
첨두값 시간
최대 오버슈트가 나타나는 시간
tp=ω1−a2π=ωdπ
지연시간
출력값이 최종값의 50%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
td≒ω1+0.7a
상승시간
출력값이 최종값의 10%에서 90%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
tr≒ω0.8+2.5a
정정시간
ts≒aω4=σd4
감쇠지수주파수(exponential damping frequency) σd
- 2차지연시스템의 단위계단응답의 종류 : 근의 위치가 복소평면에서 어디에 있는냐에 따라 구분됨
- 과제동응답 : 두 근 모두 복소평면의 좌반면 실수축 위에 있을때
- 임계제동응답 : 두 근 모두 복소평면의 좌반면 실수축 위에 겹쳐 있을때
- 부족제동응답 : 두 근 모두 복소평면의 좌반면에 있을때
- 무제동응답 : 두 근 모두 복소평면의 허수축에 있일때
감쇠비 및 고유주파수와 특성방정식의 근
s2+2aωs+ω2=(s+aω)2+ω2(1−a2)={(s+aω)−jω1−a2}{(s+aω)+jω1−a2}=0
s1=−aω+jω1−a2,s2=−aω−jω1−a2
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.